1. 프로그램명: FRP 복합재 적층으로 시제품 모형 제작
2. 목적
1) 대학혁신지원 사업 모니터링
2) 프로그램 개선점 및 보완점 도출
3. 모니터링 내용
1) 프로그램 대상, 목적
- 프로그램 대상은 1학년부터 4학년까지 모든 학부생과 대학원생입니다. 또한, 신청자 중 7명을 선발하여 진행되는 프로그램입니다.
- 상기 프로그램의 목적은 5가지입니다. 첫째, 전공 외의 분야에 관해 관심으로 인하여 다양한 능력의 인재 발굴입니다. 두 번째,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에 기여할 수 있는 다학제적인 역량 강화 도모입니다. 세 번째, KU Smart Factory 장비, 공간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교육으로 4차 산업혁명, 메이커 무브먼트 그리고 창업 문화 확산입니다. 네 번째, 자신만의 탄소섬유 외피 제작을 통해 취창업 능력 향상입니다. 다섯 번째, 대학 및 기관 공모전, 팀프로젝트 참가 지원을 통한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및 창조적 도전정신 함양입니다.
2) 프로그램/시설 구체적 내용
- 프로그램 강사는 문창근 강사님입니다. 강사님은 건국대학교 기계공학과 09학번 동문이자 드론 교육 업체 로텀 대표입니다.
‘2022 국제 PAV 기술 경연대회’에서 대상과 한국항공우주산업 특별상을 수상하셨습니다. 이에, 투데이건국(http://www.konkuk.ac.kr/Administration/Pub/jsp/New/blog.jsp?src=/do/MessageBoard/ArticleRead.do?forum=11841714&sort=6&id=5b4f87f&urlYn=Y)에도 소개되었습니다.
- 강의는 1일차(5시간)와 2일차(1시간)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습니다.
- 1일차에는 FRP 복합재 적층의 이해 등의 내용을 학습했습니다. 그리고, 2인 1조로 조를 형성하고 반구형 마스터모델을 선택해 가공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실제 적층재를 접착하며 실제 몰드를 제작하였습니다. 2인 1조로 진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1시간가량을 집중해 한 번에 완성해야 했기에 쉽지 않은 작업이었습니다. 집중하지 않으면 반구 형태가 일그러지기에 더욱 몰두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 2일차에는 완성품을 확인하고 회수하였습니다. 회수하고자 몰드 사이 접착제를 떼어내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헤라로 반구 형태를 여러 방향에서 긁어가는 과정을 반복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조교 선생님과 제가 장갑을 끼고 있었음에도 적층재 가락에 찔려 손에서 피가 났습니다.
- 완성품을 회수하고 날카로운 부분을 커터기로 깎아내는 과정을 진행했습니다. 이후, 기념 사진 촬영을 하고 수료증을 배부받았습니다.
3) 프로그램/시설 운영시 아쉬웠던 점
- 1일차에 FRP 복합재 적층의 이해 수업을 듣고 10~15분의 짧은 휴식 시간을 가진 후 몰드 제작에 들어갔습니다. 시간 측면에서 5시간이 부족하다고 느껴졌고 하루 동안 모두 하느라 실제 제작 시 집중력이 떨어진 상태임을 자각하였습니다. 이에, 후반부에 이르러서는 완벽한 반구 형태 제작에 집중력을 높여야 한다는 스트레스를 받았습니다. 추후 진행 시에는 3일로 진행하여 1일 차 내용을 1, 2일 차로 나누어 진행하고 3일차에 완성품을 회수하는 방안으로 수정되면 나아지리라 생각했습니다.
4. 개선점 및 보완점
1) FRP 적층 실습은 공과대 재학생과 KU융합과학기술원 학생들의 전공 적합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학교 알림톡에서 스마트팩토리 관련 공지를 쉽게 받아볼 수 없습니다. 스마트팩토리 관련 공지도 과대표를 통해 학과 공지 단톡방에 카드뉴스 형태로 홍보되는 방향으로 개선되길 희망합니다.
2) 몰드 사이 접착제를 떼어내는 과정에서 힘과 요령이 필요해 조교 선생님들께서 많은 고생을 하셨습니다. 나아가, 장갑을 끼고 작업을 했음에도 작은 상처를 입었습니다. 이에, 추후 프로그램 진행 시 두꺼운 장갑이 지급되길 희망합니다.
3) 몰드를 제작한 후 커터기로 다듬는 과정이 필수적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에, 해당 시간도 포함하여 수강생들이 완벽한 완성작을 자택으로 가져갈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이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 시간도 1~2시간 늘려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학생모니터링단 스마트운행체공학과 임준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