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혁신 ㅣ 디지털 기술 기반의 교육 플랫폼 조성
디지털 미디어 중심의 교육 인프라 구축, 미래형 원격수업 기반 마련, 교수역량 강화 사업의 유기적인 추진을 통하여 디지털 대전환 시대 대학의 미래교육 경쟁력 제고
디지털 미디어 중심의 교육 인프라 구축, 미래형 원격수업 기반 마련, 교수역량 강화 사업의 유기적인 추진을 통하여 디지털 대전환 시대 대학의 미래교육 경쟁력 제고
- 사업부서
관재팀, 시설팀, 교수학습센터 - 주요 세부프로그램
수요자 요구 반영 교육시설 개선, 원격교육 운영체제 고도화, 디지털 미디어 활용 교수역량 강화 등 - 주요성과
(교육인프라) KU Kreative Hub, KU-All line Hub 구축, (원격교육) LMS 안정화, 메타버스 기반 교육환경 구축, (교수역량) AR 기반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교육혁신 ㅣ 사회·산업 수요 기반의 교육과정 운영
창의혁신 인재 양성을 위해 도입한 교육과정, 학사제도의 성과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사회·산업 수요 기반의 교육과정 운영 고도화
창의혁신 인재 양성을 위해 도입한 교육과정, 학사제도의 성과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사회·산업 수요 기반의 교육과정 운영 고도화
- 사업부서
교양연구평가센터, 교양교육센터, 학사팀, 교육성과관리센터 - 주요 세부프로그램
KU:Discover(국가난제해결), KU:SL(사회적영향력창출) 신규교과목 공모사업, 자기설계전공제 및 자기설계학기제 운영, 유망 진출 분야 발굴을 위한 산업체 조사 분석 등 - 주요성과
(전공교육과정) 사회수요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교양교육과정) 핵심역량 기반 기초교양 교과목 표준화, (비교과 교육과정) 자기계발, 진로, 취업 등 역량증진 프로그램 확대

교육혁신 ㅣ 학생성장 목표 수립 및 맞춤형 지원
디지털 신기술 기반의 학생 성장주기와 과정 유형별로 표준화된 교육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학생이 요구하는 다양한 교육을 확충하고 이에 대한 사례를 제공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차별화 서비스 제공
디지털 신기술 기반의 학생 성장주기와 과정 유형별로 표준화된 교육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학생이 요구하는 다양한 교육을 확충하고 이에 대한 사례를 제공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차별화 서비스 제공
- 사업부서
WE人교육센터, 학생상담센터, 진로취업센터, 현장실습지원센터 - 주요 세부프로그램
AI인재 관리 플랫폼 ‘WE人傳(위인전)’ 고도화, AI기초학습 튜터(Dr.KU) 서비스 개발, 학생 성장 맞춤형 프로그램, 학과주도형 프로그램, 맞춤형 진로교육지원 KU Career3!4!(KU Career Program, KU World Leader, 직무멘토링 등) 등 - 주요성과
(WE人傳(위인전) 활성화) 맞춤형 교과, 비교과 지원, (역량강화 프로그램 지원) 비교과 프로그램의 질적 강화, (진로교육 지원) 진로지도교과목 필수화 및 내실화

교육혁신 ㅣ 캠퍼스 데이터 관리 고도화 및 지능화 서비스 확산
차세대 교육 서비스 혁신을 위한 스마트캠퍼스 마스터플랜 수립 및 빅데이터 분석기반 서비스 제공
차세대 교육 서비스 혁신을 위한 스마트캠퍼스 마스터플랜 수립 및 빅데이터 분석기반 서비스 제공
- 사업부서
정보운영팀, 정보인프라팀 - 주요 세부프로그램
스마트 캠퍼스 정보운영 마스터플랜 수립, 교내 교육(학사/행정/연구등) 서비스 시스템 유지보수 및 고도화, 학생개발팀 구축, Data Lake 구축, AI 기반 학사정보지능화 등

연구혁신 ㅣ 우수 연구성과 창출 가속화 및 후속세대 연구인력 양성
다양한 연구분야 프로그램 참여를 통하여 우수 학부생의 대학원 입학률 제고 및 대학원 연구 특성화를 통하여 세계적 수준의 연구경쟁력 강화 도모
다양한 연구분야 프로그램 참여를 통하여 우수 학부생의 대학원 입학률 제고 및 대학원 연구 특성화를 통하여 세계적 수준의 연구경쟁력 강화 도모
- 사업부서
혁신사업단 혁신지원사업센터, 대학원행정실, KU융합과학기술원 - 주요 세부프로그램
KU RA 프로그램, 대학원비교과 프로그램, 4+1 학석사연계과정, 학부생 특성화 연구 프로그램(RUS), 연구성과 창출 장려(우수논문/우수학생 포상) 등

산학협력혁신 ㅣ 산학협력 융합거점 구축
산학협력을 통한 대학 연구성과 파급경로 창출 및 첨단기술의 대학 내 유입경로 마련
산학협력을 통한 대학 연구성과 파급경로 창출 및 첨단기술의 대학 내 유입경로 마련
- 사업부서
KU Smart Factory, Bio공동기기원, Tech 공동기기원 - 주요 세부프로그램
KU 산학협력 프로젝트, 산학연계 실습장비 교육 활성화 사업, 메이커스페이스 활성화 프로그램, 학부생 역량강화사업 등

산학협력혁신 ㅣ 창업 가치 창출을 위한 지원체계 고도화
학생 창업-실험실 창업 지원체계 동반 고도화를 통한 대학 내 혁신문화 활성화
학생 창업-실험실 창업 지원체계 동반 고도화를 통한 대학 내 혁신문화 활성화
- 사업부서
창업교육센터 - 주요 세부프로그램
KU-Startup Stars 양성, KU Startup Universe 조성, 실험실 창업 적합기술 발굴, 실험실 창업문화 확산 등